본문 바로가기
생활정보

웹테크 / 온라인 부업은 보이스피싱의 타깃! 금요일 보이스피싱 온라인 사기 조심할 것

by 파워제이주인장 2025. 3. 4.
반응형

사기꾼들은 자신들의 먹잇감을 정확히 알고 있습니다. 
열심히 돈을 모르려는 사람들의 심리를 이용합니다.
웹 기술이나 온라인 부업으로 카페나 블로그로 URL 클릭을 공유하고 한다면 당신은 
사기꾼(보이스피싱)들에게 노출이 된 겁니다.

저렴하게 할인 쿠폰을 받아서 구입하려 하거나, 환급에 익숙해지는 당신들을 노리는
신종 범죄들이 자주 생기기 때문입니다. 
사기꾼들은 당신들이 활동하는 카페나 블로그를 통해 자연스럽게 당신들의 정보를 알아내고 
그 정보를 통해서 당신들에게 접근합니다. 

당신은 정말 꼼꼼하고 사기를 절대 당하지 않을 사람이라고 장담하겠지만
웹 기술에 익숙해지고, 환급에 익숙해진 당신은 누구보다 쉽게 사기에 넘어갑니다.
무심코 당신들이 할인쿠폰이나 환급을 받으려 사이트에 가입할 때 "정보 동의"한
그 정보들이 다 범죄에 노출되는 겁니다. 개인정보는 항상 조심하고 또 조심해야 합니다.

온라인수업으로 다양한 인스타나 유튜버들이 광고합니다. 
그렇게 돈을 많이 벌 수 있다면 그들이 왜 알려줄까요? 그들만의 세상인데요
공짜는 이 세상에 없습니다. 모든 그만한 대가를 치러야 합니다.

쉽게 아니 정말 돈을 그렇게 벌 수 있다면 그들이 전부 독식하고 어디서 대출을 받아서라도 더투자하지
그걸 왜 남들에게 공유해서 돈을 벌 수 있다고 이야기할까요?

5만원의 물건을 사면 5만원 금액과 동시에 2~3만원을환급해 준다고 합니다.
5만원을 투자해서 3만원을 버는 거죠! 그러면 당신은 하겠습니까? 안 하겠습니까?

아마 웹 기술을 하고 계신다면 의심 없이 할 겁니다.
이게 시작입니다. 
힘든 시기에 사람들이 몇 푼이라도 아끼고 살려고 노력하고 있는데
그걸 나쁘게 이용하고 있습니다. 


 

"금요일을 항상 조심할 것"


금요일을 조심하세요!
사기꾼들이 금요일을 노립니다. 
토/일은 은행 업무 / 공무원업무가 거의 중지되는 날입니다.
그걸 노리고 금요일 오후까지 시간을 끌다가 6시 이후부터는 잠적합니다. 

그럼 부랴부랴 주말 동안 당직 근무자들에게 신고해도 처리는 며칠 지나서 될 수밖에 없습니다.
그럼 시간 동안 피해자들은 지옥입니다. 

아무것도 하지 못한 채 집에서 울고만 있고, 그 허탈함과 상실감에 빠져서 헤어 나오지 못합니다.
이렇게 사기꾼들은 돈만으로 가는 게 아니라 한 사람의 아예 망가트립니다. 

제가 이렇게 잘 아는 이유는 우리 가족이 피해를 봤기 때문입니다.
몇푼 아껴서 잘살아 보려 한 그 행동들이 이렇게 큰 피해로 다가올 줄은 정말 몰랐습니다.

똑똑하고, 많이 배웠고가 문제가 아닙니다.
사기꾼들이 작정하고 덤비고, 피해자들이 그 타이밍에 잘 맞아떨어진다면
그 누구도 사기를 피할 수 없을 겁니다.

이걸 보시는 분들이라면 현재 피해를 본 분들도 있겠지만...
그냥 내일이 아니니까 하고 지나가실 수도 있습니다.
저도 이런 걸 누가 당해 말도 안 되라고 생각하며 살아온 1인입니다.
근데 정말 말도 안 되게 당하더라고요

제발 주변에 누군가에게 도움을 요청하세요!
혼자 판단하려 하지 마세요!

급할수록 돌아가라는 말이 있습니다. 
급한 거 하나 없습니다. 몇번이고 이게 맞는지 생각하고 또 생각하는 버릇이 필요합니다.
그리고 내가 틀릴 수도 있다는 것을 인정할 줄 알아야 합니다.


 


1. 온라인 사기에 대한 정보
온라인 사기는 인터넷을 통해 이루어지는 다양한 형태의 사기 행위를 말합니다. 주요 유형은 다음과 같습니다:

피싱(Phishing): 은행이나 공공기관을 사칭하여 개인정보나 금융정보를 탈취하는 사기
쇼핑몰 사기: 존재하지 않는 상품을 판매하거나 결제 후 상품을 보내지 않는 사기
투자 사기: 높은 수익률을 미끼로 투자금을 가로채는 사기
중고 거래 사기: 중고 물품 거래를 가장해 금전을 가로채는 사기
랜섬웨어: 컴퓨터 파일을 암호화하고 복구 대가로 금전을 요구하는 사기

2. 온라인 보이스피싱 사기
보이스피싱 사기는 전화나 인터넷 음성 통화를 이용한 사기 수법입니다:

공공기관 사칭: 경찰, 검찰, 금융감독원 등을 사칭하여 범죄 연루나 세금 문제를 언급하며 공포심 유발
금융기관 사칭: 은행, 카드사 직원을 사칭하여 계좌 정보 요구
대출 빙자 사기: 저금리 대출을 미끼로 선수금 요구
환급금 사기: 세금, 보험금 등의 환급을 빙자해 개인정보 탈취
원격제어 프로그램 설치 유도: 컴퓨터 원격 접속을 통해 금융정보 탈취

3. 포인트 사기
포인트 사기는 다양한 방식으로 이루어집니다:

포인트 현금화 사기: 높은 환전율을 미끼로 포인트 정보를 요구한 후 탈취
가짜 포인트 적립 사이트: 개인정보 수집을 위한 허위 사이트 운영
보상 앱 사기: 실제 보상 없이 개인정보만 수집하는 앱 설치 유도
SNS 포인트 이벤트 사기: 가짜 이벤트로 개인정보 탈취

4. 사기 신고 방법
경찰 신고

사이버안전국: 경찰청 사이버안전국 홈페이지(https://cyberbureau.police.go.kr)에서 신고
112: 긴급한 경우 112로 신고
경찰서 방문: 가까운 경찰서 방문하여 신고 가능

금융 관련 신고

금융감독원: 금융소비자보호처(1332)로 신고
금융사기 피해 신고: 금융감독원 금융소비자보호처 또는 해당 금융회사에 신고
피해금 환급제도: 피해 발생 시 신속히 금융회사와 경찰에 신고하면 일부 환급 가능

온라인 신고 채널

KISA 인터넷침해대응센터: 118 또는 https://www.krcert.or.kr에서 신고
공정거래위원회: 1372 소비자상담센터를 통한 신고

신고 시 준비할 자료

사기범의 계좌번호, 연락처, 대화 내용 캡처
송금 증빙 자료
사기 사실을 인지하게 된 경위와 시간

신고 후에는 관련 증거를 보존하고, 추가적인 금전 피해가 없도록 주의하시기를 바랍니다.

 

 

 

반응형